코드스테이츠 수강 TIL/Section 3
2021. 10. 13 수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SQL문법 INSERT INTO, JOIN, NULL, GROUP BY 2. 정리해보자!🧹 오늘은 데이터를 조회하는 다양한 SQL 문법을 사용하는 과제를 진행했다. 그 중에 몇개를 꼽아서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. INSERT INTO : 데이터 삽입 INSERT INTO table_name (column1, column2, column3, ...) VALUES ( value1, value2, value3, ...); 위 처럼 작성해주면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. 칼럼명을 생략해서 작성할 경우 모든 column의 순서에 맞춰서 값을 넣어주어야 한다. INSERT INTO table_name VALUES (value1, value2, v..
2021. 10. 12 화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Schema Design 데이터베이스 연결 2. 정리해보자!🧹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초기에 Schema를 잘 설계해야 한다. 테이블의 구조와 데이터 타입 등을 사전에 정의하고, 테이블끼리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에 따라 테이블을 나눌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. 관계 종류는 크게 4가지가 있다. 1:1 관계 1:N 관계 N:N 관계 self referencing 관게 1:1 관계 하나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 한개와 연결된 경우이다. phone_id는 외래키(foreign key)로써, Phonebook 테이블의 phone_id와 연결되어 있다. 각 전화번호가 단 한 명의..
2021. 10. 08 금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데이터베이스 SQL vs NoSQL SQL문법 2. 정리해보자!🧹 데이터베이스가 왜 필요한가?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, In-Memory 형태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, 굳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? 엑셀 시트나 CSV 파일 등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? 먼저, In-Memory 형태로 데이터를 다룰 때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만 존재하는 데이터가 있다. Javascript에서 변수를 만들어 저장한 경우,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하던 데이터도 사라진다. 그렇기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없고, 프로그램이 종료된 상태라면 데이터를 원하는 시간에 ..
2021. 10. 07 목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중복순열 순열 조합 2. 정리해보자!🧹 중복순열부터 익히면 순열과 조합을 이해하는 것이 수월해진다. 수학적인 의미는 알고있는 것으로 하고 코드를 어떻게 작성해줘야 하는지 보자. 1) 중복순열 우선 반복문만을 사용해서 중복순열을 구현해보자. n개의 아이템이 있을 때, 이 n개의 아이템을 중복해서 나열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리턴하는 코드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. let result = []; let arr = [1, 2, 3] for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{ for(let j = 0; j < arr.length; j++){ for(let k = 0; k < arr.length; k++){ res..
2021. 10. 06 수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Algorithm Time Complexity, Big-O Greedy Algorithm 2. 정리해보자!🧹 알고리즘이란?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선택이다. 컴퓨터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, 무수히 많은 방법을 시도할 수 있다. 모든 경우의 수를 하나씩 비교해서 그 중 최선을 골라낼 수도 있고, 하나씩 비교하지 않더라도 가장 좋아 보이는 것을 먼저 찾아냈다면 뒤 쪽의 경우의 수를 그냥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. 우리는 컴퓨터가 최선을 수로 값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코드를 짜주어야 한다. 어떻게? 문제를 이해하자. 대부분의 코딩 테스트에서는 문제의 설명과 입출력예시, 제한사항, 그리고 주의사항 등으로 문제 상황을 제시..
2021. 10. 05 화요일 1. Today's Key Points!🔑 사용 권한 환경변수 2. 정리해보자!🧹 사용 권한? Linux에서 사용하는 폴더와 파일에는 권한이 있다. 그리고 그 권한은 읽기(Read), 쓰기(Write), 실행(Execute)로 나뉜다.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이 무엇을 뜻하는지, 어떻게 변경할 수 있는지를 배워보았다. 사용 권한을 보고 싶다면 ls -l을 터미널에 입력하면 된다. d는 directory를 나타낸다. d가 있으면 폴더, d자리에 -가 있으면 파일이라는 뜻이다. 그리고 rwx가 세개씩 나뉘어서 읽기권한, 쓰기권한, 실행권한을 나타낸다. 만약 -rw-r--r--라고 되어있으면, owner는 읽기권한, 쓰기권한이 있고, group, other는 읽기 권한만 있는 파..